학회소식 > 활동사항 1 페이지 글목록
일시 내용
2024. 12. 07 2024년도 하반기 윤리교육(Zoom), 2시간 개설
• 주 제 : 미술치료사의 윤리
• 강 사 : 김갑숙(전 영남대학교)
2024. 12. 07 ■제162회 월례세미나(Zoom)
주 제 1 : WZT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 인지 향상 집단 미술치료 사례 (정연주)
주 제 2 :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김경란)
주 제 3 : 고령 노인의 인지기능, 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차수경)
주 제 4 : 내성적인 중성 남성의 자존감과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거절을 잘하고 싶어요"(한현희)
주 제 5 : 조손 가정 초등 여아의 자기표현 미술치료 사례(전새미)
주 제 6 : 대학생의 자아성장을 위한 콜라주미술치료 사례연구(권소선)
주 제 7 :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우설아)
주 제 8 : 주민센터 이용 중년여성의 자기 인식을 위한 인생 파노라마 집단 미술치료(안은숙)
2024. 11. 16 ■제40회 공개사례(Zoom)
주 제 1 :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어은경)
주 제 2 : 미술치료에서 복합 외상을 가진 여성의 회복과정 사례(김태희)
주 제 3 : 마음이론에 근거한 발달장애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김준수)
주 제 4 :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유를 위한 틀'을 위한 오픈스튜디오 집단미술치료 사례(주연우)
주 제 5 : 완벽한 성향의 부정감정 이해를 위한 청년의 재방문 미술치료 사례(김효정)
주 제 6 : 중년남성의 긍정적 자기개념 변화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김현경)
2024. 10. 26 - 10. 27 ■제192회 미술치료연수회-국제전문가초청 워크숍(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16시간, 대면 : 167명)
주제 : 정신화(Mentalization)기반의 미술관 미술치료
∙강사 : Neil Springham(닐 스프링 햄) PhD.(영국 Oxleas NHS(국민보건서비스))
∙통역 : 임성윤(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전임교수)
2024.10.25 ■ 제47차 추계학술대회(대면 : 151명)
주제: 미술치료의 정책적 과제

주제강연
1: 한국미술치료 현황과 정책적 과제
2: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문화예술정책-‘문화치유 정책’을 중심으로
3: NHS (National Health Service) and Art Therapy in the UK(영국의 NHS(국민보건서비스)와 미술치료)

학술발표
1. 미술치료 사례개념화 구성요소 개발(윤라미, 김태은)
2. 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오픈스튜디오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김은희·최선남)
3. 복합 PTSD 성인 여성의 공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색채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한미미·전순영)
4. 미술치료사와 두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이야기(이정원·최선남)

포스터발표
1.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애도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김예슬, 신지현)
2. 아동학대를 경험한 여성의 불안 및 공격성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김윤지, 이은주)
3.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김묘연, 이현주)
4. 테크놀로지를 융합한 미술치료의 국내.외 연구 비교: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김진희, 박성혜)
5. 청년 자영업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촉각매체 중심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이서빈, 신지현)
6. 대인관계 외상을 겪은 20대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황연미, 신지현)
7. 우울감을 겪는 목회자 사모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김진아, 김태은)
8. 미술치료가 성인 여성의 우울 및 사회적 회피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김은혜, 이은주)
9. ADHD아동과 모의 모자관계 개선을 위한 모자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왕은영, 신지현)
10.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특수학교 아동 임상실습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박현선, 김정애)
11.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김주환, 신지현)
12. 생애 전환기에 있는 신중년의 오픈 스튜디오 프로세스(Open Studio Process)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김태현, 김유정)
13. 자기 작업으로 풀어낸 삶의 고백에 대한 자전적 탐구(박재정, 최선남)
14. 조기 퇴직한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발견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박정애, 최선남)
2024.09.21 ■제161회 월례세미나(Zoom)
주 제 1 : 자기 이해와 표현을 위한 성인 여성의 미술치료 사례 (안유진)
주 제 2 :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일상적응 및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공동관심행동 형성 미술치료 프로그램 사례(송형지)
주 제 3 : 뇌병변 아동의 자기표현 및 소근육 기능 향상을 위한 개인미술치료 사례(간민지)
주 제 4 : 성폭행 피해 아동의 개인미술치료사례(박영미)
주 제 5 : 시각장애 20대여성의 긍정적 자기개념형성을 위한 해결중심 미술치료사례(석지영)
주 제 6 : ADHD 성향 언어장애 아동의 긍정적 자기표현과 또래 관계 향상을 위한 개인 미술치료 사례(동혜정)
2024.08.17~18,2024.08.24~25 ■ 제191회 연수회 [부부가족 미술치료], [정신병리와 미술치료], [장애아동 및 특수대상 미술치료], [미술치료 윤리]
(온라인 Zoom, 각 8시간 총 32시간 개설 : 181명)
2024. 07. 06-07.07 / 07.13-07.14 ■ 제190회 연수회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미술치료 매체], [그림에 의한 심리진단],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온라인 Zoom, 각 8시간 총 32시간 개설 : 명)
2024. 05. 18 ■제39회 공개사례(Zoom)
주 제 1 : 20대 초반 여성의 대인관계 어려움과 불안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정미선)
주 제 2 : ADHD 성향을 지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김도희)
주 제 3 :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불안감 완화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우정희)
주 제 4 : 만6세 아동이 자신과 일상의 만남을 위한 자기상징물을 활용한 미술치료 사례(손선미)
주 제 5 : 고용센터 취약계층 고위험군의 현실 적응력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윤혜정)
2024. 05. 12 ■제32회 미술치료사 자격 이론시험 : 52명 응시
2024.04.13 ■제160회 월례세미나(Zoom)
주 제 1 : 등교거부 자녀를 둔 모의 긍정적 자아통합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양진경)
주 제 2 :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정서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안보윤)
주 제 3 : 다문화 배경 청소년의 불안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조영선)
주 제 4 : 캥거루족 성인 여성의 우울과 불안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박민영)
2024.03.30 ■ 제189회 미술치료연수회-전문가초청 워크숍(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 화상zoom 동시 개최, 8시간 개설 : 242명)

∙주제 : MZ세대의 정신건강과 비자살적 자해
∙강사 : 심세훈(순천향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2024.03.29 2024년도 상반기(춘계학술대회) 윤리교육(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 온라인 Zoom 동시 개최), 2시간 개설
• 주 제 : 미술치료사의 윤리
• 강 사 : 최선남(영남대학교)
2024.03.29 ■ 제46차 춘계학술대회(대면& 비대면 동시진행:268명)
주제: 미술치료학의 발전 및 국가자격화

주제강연
1: 상담서비스 법제화의 길
2: 발달재활사의 국가자격 법제화 전망
3: 문화예술분야에서의 미술치료의 역할

학술발표
1. 미술치료사의 정체성에 대한 미술치료학과 교수의 인식(신지현, 최영주, 유수옥)
2.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이은주, 김지은, 정소연)
3. 미술치료에서 AI활용에 관한 미술치료사의 인식 분석(김태은, 이지연, 변해진, 손창배)
4. 칸딘스키의 원(圓)그림을 통한 미술치료사의 자아통합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윤해정, 전순영)
5. 자발화(自發畵)로 상생하는 중년여성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지숙희, 최선남)

포스터발표
1. 미술치료사의 섬유매체 작업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강경은, 최선남)
2. 미술치료가 우울, 불안 성인여성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김경현, 이은주)
3. 협동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자기표현과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김수연, 신지현)
4. 미술치료가 직장인 여성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김은미, 이은주)
5. 중학생의 정서, 행동문제 진단평가를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소현경, 이근매)
6.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오혜린, 신지현)
7.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2차원 습식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이소영, 신지현)
2024.02.17~18,2024.02.24~25 ■ 제188회 연수회 [부부가족 미술치료], [정신병리와 미술치료], [장애아동 및 특수대상 미술치료], [미술치료 윤리]
(온라인 Zoom, 각 8시간 총 32시간 개설 : 268명)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다음검색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사이트맵